햇살론 유스를 통해 대출을 받은 경우, 매달 상환해야 할 금액과 상환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예를 들어, 100만 원을 대출받아 2년의 거치 기간 후 7년간 상환 계획을 세운 후, 금리는 3.5%입니다.
💡 매달 내야하는 돈 계산
1.거치 기간: 이 기간 동안에는 이자만 납부합니다.
• 계산 방식: 대출금 × 금리 ÷ 12
• 예시: 1,000,000원 × 0.035 ÷ 12 = 약 2,917원
2.상환 기간(거치 기간 후): 대출금을 7년간 분할 상환합니다.
상환 방식은 원리금균등상환을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:
• 월 상환금 = (대출금 × 월 금리 × (1 + 월 금리)^상환 개월 수) / ((1 + 월 금리)^상환 개월 수 • 1)
• 월 금리 = 0.035 ÷ 12
• 상환 개월 수 = 7 × 12 = 84개월
위 공식을 바탕으로 계산해보면:
• 월 상환금 = (1,000,000 × 0.0029167 × (1 + 0.0029167)^84) / ((1 + 0.0029167)^84 • 1) = 약 13,597원
따라서, 거치 기간 동안 매달 2,917원을 이자로 납부하고, 거치 기간이 끝난 후에는 매달 약 13,597원을 상환하게 됩니다.
💡 통장 자동 출금 관련
기업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았다면,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한 자동 출금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의 경우, 대출을 받을 때 자동 출금 계좌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1.자동 출금 확인: 대출 서류나 대출 상담 시에 자동 출금 등록 여부를 확인해서, 해당 통장에 매월 상환할 금액을 잔액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2.추가 확인 필요: 직접 은행을 방문하거나 인터넷 뱅킹을 통해 자동 출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십시오.
대출 상환 관련하여 더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, 설정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항상 고객센터나 은행 상담원과 상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#햇살론유스 #대출상환 #금융정보 #기업은행 #거치기간 #자동출금 #금융상담
'일상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사이트 결제사기 대응방법 (0) | 2025.02.02 |
---|---|
빌라 엘리베이터 수리비 분담, 어떻게 해야 할까? (0) | 2025.02.02 |
LH 전세임대 1유형 계약 및 이사 시 주의사항 (0) | 2025.02.02 |
CU 편의점에서 토스뱅크 계좌에 현금 충전하는 방법 (2) | 2025.02.02 |
오토바이 교통사고와 실비보험 청구 시 유의사항 (0) | 2025.02.02 |